티스토리 뷰

HANARO 200 ETF에 투자할 때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 중 어떤 곳이 더 유리할까요? 기본 수수료 구조, 이벤트 우대 조건, 정액제 유무, 모바일앱 사용성까지 실제 투자 성향에 따라 체감되는 차이가 분명한 두 증권사를 비교해봤습니다. 어떤 투자자에게 어떤 선택이 더 잘 맞을지 현실적인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HANARO 200 ETF, 한국투자증권 vs NH투자증권 수수료와 혜택 비교하기

 

 

 

HANARO 200 ETF, 종목은 같아도 어디서 사느냐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요즘 주식보다 ETF에 투자하는 분들이 더 많을 정도로, ETF는 이제 기본 중의 기본이 됐습니다. 특히 HANARO 200 ETF는 국내 대표 지수인 KOSPI200을 그대로 추종하는 상품이라 투자 안정성이나 거래량 면에서 입문자부터 실전 투자자까지 누구나 하나쯤은 들고 있는 종목이죠.

 

그런데 이 ETF를 어느 증권사를 통해 거래하느냐에 따라 실제 수익률에 미묘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점, 혹시 신경 써보셨나요? 똑같은 ETF인데도 매수·매도 시 붙는 수수료, 정액제 유무, 우대 이벤트 적용 여부, 모바일 앱의 편리함 등이 증권사마다 전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투자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 두 곳을 중심으로, HANARO 200 ETF 거래 시 어떤 쪽이 더 유리할지 실제 사용 기준으로 하나하나 따져보았습니다. 단순 비교가 아닌, 투자 성향에 따라 어떤 증권사가 더 잘 맞는지도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HANARO 200 ETF 거래 기준, 한국투자증권 vs NH투자증권

국내 ETF 수수료

HANARO 200은 국내 ETF이기 때문에 국내 주식과 같은 수수료 체계를 따릅니다. 여기서 핵심은 실제 거래 시 체감되는 수수료인데요, 기본 수수료율 외에도 이벤트나 앱 할인 조건에 따라 실질 부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국투자증권

기본 수수료는 0.015% 수준으로, 업계 평균 정도입니다. 신규 고객 또는 비대면 계좌 개설 시 수수료 우대 혜택이 적용되긴 하지만, 정액제나 장기 우대 구조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입니다.

 

이벤트 참여나 특정 조건 충족 시 소폭 수수료 할인이 있긴 하지만, 자주 거래하는 분들에겐 다소 아쉬운 구조일 수 있습니다. 앱 ‘eFriend Smart’는 안정적이지만 메뉴 구성이 전통적이라 처음 접하는 분들에겐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NH투자증권 (나무/NAMUH 앱 기준)

NH투자증권은 모바일 앱을 중심으로 초기 비대면 가입자 대상 파격적인 수수료 이벤트를 자주 엽니다. 기본 수수료는 0.010% 수준으로, 이벤트 참여 시 0.004~0.005%대 수준까지 낮춰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평생 우대 수수료’라는 표현을 쓰며 장기적으로 낮은 수수료율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든 구조가 많습니다. 모바일앱은 깔끔하고 사용이 간편해 ETF 매매에 익숙하지 않은 투자자에게도 접근성이 좋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봤을 때, 단순 수수료만 놓고 보면 NH투자증권이 더 유리합니다. 특히 비대면 신규 계좌 기준으로 보면 우대 수수료 폭이 꽤 크고, 장기적으로도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정액제 유무와 이벤트 활용 구조

정액제는 자주 거래하는 투자자에게는 수수료를 일정 선 이상으로 넘지 않도록 해주는 보호막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정액제 여부와 이벤트 구조도 비교해볼 포인트입니다.

 

한국투자증권

정액제 구조는 운영하지 않습니다. 대신 수수료 우대 이벤트를 간헐적으로 진행하지만, 조건이 명확하지 않거나 자동 적용이 아닌 경우가 많아 적극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NH투자증권 (NAMUH)

정액제 자체는 없지만, 비대면 전용 수수료 우대 이벤트가 ‘장기 고정형’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정액제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벤트 페이지가 앱 내에서 보기 쉽게 구성돼 있어 참여 여부 확인이 쉬운 점도 장점입니다.

 

두 증권사 모두 정액제를 공식적으로 운영하진 않지만, NH는 평생 수수료 우대 이벤트의 활용도가 훨씬 높고 실질 체감도 큽니다.

 

 

MTS 앱 사용 편의성, 사용자 경험에서 차이 나는 부분

ETF 거래는 결국 스마트폰으로 많이 하게 됩니다. 이때 앱 구성과 반응 속도, 메뉴 접근성도 중요한 차이를 만듭니다.

 

한국투자증권 (eFriend Smart)

전통적인 구성이라 기능은 많은데 UI가 조금 무겁고 직관성이 떨어진다는 평이 많습니다. 장기 투자자, 주식 경험이 많은 사용자에게는 익숙할 수 있지만 처음 접하는 투자자에겐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NH투자증권 (NAMUH)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빠른 반응 속도, ETF/공모주/적립식 등 주요 메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가 강점입니다. 특히 MZ세대나 모바일 중심 투자자들에게는 앱 사용성 면에서 훨씬 높은 점수를 받고 있는 편입니다.

 

투자 성향별로 어떤 증권사가 유리할까? 한국투자 vs NH투자 비교 정리

ETF 투자도 사람마다 방식이 다릅니다. 누구는 주식처럼 매일 사고파는 분도 있고, 어떤 분은 월급날마다 정기적으로 넣는 분도 있죠. 또 앱 하나로 공모주, 채권, 연금까지 다 함께 보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증권사를 고를 때도 단순히 수수료만 보지 말고 “내 투자 습관과 잘 맞는지”를 보는 게 중요합니다.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은 이런 면에서 서로 강점이 다른 구조입니다. 자, 그럼 어떤 투자자에게 어떤 증권사가 맞는지 한번 따져보겠습니다.

 

ETF를 자주 사고파는 단타·스윙 중심 투자자라면? → NH투자증권

하루에 몇 번씩 매매하거나 짧게 들고 가는 투자자에게는 수수료 부담이 제일 큰 이슈입니다. 특히 ETF처럼 수수료가 낮다고 해도 자주 매매하면 누적 부담이 쌓이죠.

 

NH투자증권은 신규 가입자, 특히 NAMUH 앱을 통한 비대면 계좌 개설 시 매우 낮은 수수료 혜택을 제공합니다.

기본 수수료 자체도 낮지만, ‘평생 수수료 우대 이벤트’를 자주 진행해서 실질적인 거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구조입니다.

 

또 이벤트 참여가 어렵지 않고, 모바일 앱 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도 단타 투자자 입장에선 체감상 꽤 큽니다. 단기 매매나 자주 거래하는 투자자라면 NH투자증권이 확실히 유리합니다. 수수료, 앱 접근성 모두 실전 투자를 고려한 구조입니다.

 

 

매달 한 번씩 정기적으로 ETF를 사는 적립식 투자자라면? → 두 증권사 모두 가능

ETF를 매달 한두 번 사는 적립식 투자자에게는 수수료가 중요하지만, 거래 횟수가 적으니 정액제나 이벤트보다 앱의 간편함이나 자동 이체 기능이 더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NAMUH 앱에서 정기 이체 기능이나 자동 투자 서비스가 간편하게 구성돼 있어 장기 투자자에게도 편리합니다.

한국투자증권도 자동이체, 적립식 매수 설정은 가능하지만, 앱이 다소 전통적인 구조라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겐 불편할 수 있습니다.적립식 투자자라면 NH가 조금 더 편리한 구조를 갖고 있고, 한국투자도 사용에 익숙하다면 충분히 활용 가능합니다.

 

 

공모주, 채권, 연금 등 자산 통합 관리를 원하는 투자자라면? → 한국투자증권

요즘은 ETF만 하는 분보다 공모주나 채권, 연금까지 함께 관리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럴 경우 앱 하나로 모든 걸 볼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죠.

 

한국투자증권은 전통 증권사답게 공모주 청약, 채권 투자, IRP, 연금펀드까지 연계가 잘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투자' 앱 하나로 전반적인 자산을 체계적으로 분류해서 볼 수 있는 점이 강점입니다.

 

NH투자증권도 종합 자산 기능이 있지만, ETF와 공모주를 중심으로 간단한 포맷으로 구성돼 있어 전체 금융 관리 측면에선 조금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ETF 외 자산도 함께 굴리고 싶은 분이라면 한국투자증권이 체계적이고 관리하기 편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수수료와 접근성은 NH, 자산 통합과 안정성은 한국투자

HANARO 200 ETF를 어디서 거래할지 고민할 땐, 결국 내 투자 습관에 어떤 증권사가 잘 맞는지가 핵심입니다. 자주 사고팔거나 단타 중심의 투자자라면 NH투자증권이 확실히 유리합니다. 수수료 우대폭이 크고, 이벤트도 자주 열리며, 모바일 앱 사용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매매가 잦은 분들에게는 부담 없는 구조입니다.

 

ETF를 정기적으로 모으는 적립식 투자자에겐 두 증권사 모두 쓸 만하지만, 좀 더 자동화된 환경과 직관적인 앱을 원한다면 NH가 낫습니다. 반대로 ETF 외에도 공모주나 연금까지 포함해서 자산을 통합 관리하고 싶은 투자자라면 한국투자증권이 더 안정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결국 ‘어디가 더 좋다’보다는, ‘내가 어떤 스타일로 투자하는가’를 먼저 확인하고 선택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 수수료가 조금 다르더라도 앱이 불편하면 결국 안 쓰게 되고, 자산 통합이 안 되면 관리가 힘들어지죠. 이번 비교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증권사를 찾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같은 ETF라도 어디서 사느냐에 따라 시작부터 차이가 납니다.